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ystem

네트워크_TCP/IP

by Success T.H.I.E.F 2021. 12. 22.

 

https://goitgo.tistory.com/25-> 각 계층별 관련 프로토콜 잘 정리된 블로그

인터넷

미국 국방성(DOD) 프로젝트의 하나로 (American Defense Advanced Projects Research Agency) ARPA 연구원들은 소규모의 컴퓨터 네트웍이 핵 전쟁, 기타 재난 상황에서도 운용 가능하도록 확장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전 세계에 다양하게 분포하는 네트웍을 연결할 방법을 찾겠다는 취지하에 ARPANET이 등장한다. 이처럼 인터넷은 독립적인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를 엮어보자는 아이디어에서 시작되어 ARPANET에서 인터넷 이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하였다.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ARPANET은 당시 전화망 이외에 위성을 이용한 통신망, 지상의 무선 네트워크 등도 포괄해야 했기 때문에 대세를 이루던 전화망 스타일의 서킷(circuit)기반의 네트워크가 아닌 데이터 패킷을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 이론과 시스템을 만들 필요성을 느꼈다.

 

데이터 중심의 통신을 하다보니 자연스럽게 다양한 형태의 전파, 전기 간섭 방해등이 있을수 있었고 통신 인프라가 열악한 산간지역등 통신이 끊어지는 등에 대한 대비를 위해 초기에는 주로 지상에서의 무선통신 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NCP(Network  Control Protocol)를 활용하였다. 하지만 NCP는 ARPANET에 등록된 기계 이외에는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가 없아 자율적 화장을 생각한 인터넷의 개념과 맞지 않았으며, 또한 중간에 패킷이 소실되면 에러 처리가 불완전하여 멈추는 일도 잦았다.

 

이러한 문제외에도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을위한 프로토콜들이 만들어졌으며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sweet 아님 suit)프로토콜 모음이 정의된다.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중 TCP와 IP가 가장 많이 쓰이기 때문에 TCP/IP프로토콜 슈트라고도 불린다.

 

TCP/IP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P(internet Protocol)는 하나의 프로토콜이 아닌 TCP와 IP를 합쳐 부르는 말로서

 

IP주소체계를 따르 며TCP의 특성을 활용해 송신자와 수진자의 논리적 연결을 생성하고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뢰성을 유지한다는 말은 IP매커니즘이 비신뢰성, 비연결성이 특징이라 전송과정에서 패킷이 손상되거나 순서가 뒤죽 될 수도 있고 같은 패킷이 두번 전송 될 수도 있으며 아예 패킷이 사라질 수도있다. 따라서 TCP 프로토콜을 상위프로토콜로 이용하여 데이터의 안전한 완전 양방향 연결을 제공한다는 뜻이다. 

TCP - 연결지향이며, 자체적으로 오류를 처리하며, 네트웍 전송중 순서가 뒤바뀐 메시지를 교정시켜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연결지향이란말은 데이타를 전송하는 측과 데이타를 전송받는 측에서 전용의 데이타 전송 선로(Session)을 만든다는 의미이다. 데이타의 신뢰도가 중요하다고 판단될때 주로 사용된다.

 

TCP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기기간 정확성과 전달의 신뢰성을 보장하므로 거의 모든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프로토콜(FTP, SSH, HTTP 등)에서 사용된다.

 

TCP/IP는 OSI7 Layer 중 Layer 3,4를 다루는 프로토콜이다. 

TCP/IP 4 Layer

TCP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토콜은 3-way handshake 를 거친 후 각자 응용계층 프로토콜에 기반한 교환 과정을 실시한다. 

 3-way handshake

TCP로 이루어지는 모든통신은 장치들 사이에 논리적 접속 성립을 위해 3웨이 핸드쉐잌을을 사용한다.  

역할 : 양쪽 모두 데이터를 전송할 준비가 되었음을 보장하고 실제로 데이터 전달이 시작하기전 한쪽이 다른쪽이 준비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한다.

 

TCP의 특징

1. 흐름제어:

송신측과 수신측의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

흐름제어는 수신자가 packet을 지나치게 많이 받아 누락되는 일이 없도록 받지 않게 조절하는 것이다.

기본 개념은 수신자가 송신자에게 현재 자신의 상태를 feedback한다는 점이다.

 

2.혼잡제어:

송신측의 데이터 전달과 네트워크의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

 

 

 

참조:

 

https://aws-hyoh.tistory.com/entry/TCPIP-%EC%89%BD%EA%B2%8C-%EC%9D%B4%ED%95%B4%ED%95%98%EA%B8%B0 

 

TCP/IP 쉽게 이해하기

IT 분야에서 실무를 담당하시는 분들뿐만 아니라 학생, IT 쪽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TCP/IP에 대해 들어보셨을 겁니다. 저 또한 학부시절에 TCP/IP에 대해서 여러 번 들어보았는데요.

aws-hyoh.tistory.com

https://www.venturesquare.net/514020

 

거의 모든 인터넷의 역사 (14) - TCP/IP와 이더넷의 탄생

인터넷은 독립적인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들을 엮어내겠다는 아이디어에서 시작했다. 인터넷의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ARPANET은 이를 위해서 기존의 전화망 이외에 위성을 이용한 통신망이나

www.venturesquare.net

 

 

https://mindnet.tistory.com/entry/%EB%84%A4%ED%8A%B8%EC%9B%8C%ED%81%AC-%EC%89%BD%EA%B2%8C-%EC%9D%B4%ED%95%B4%ED%95%98%EA%B8%B0-22%ED%8E%B8-TCP-3-WayHandshake-4-WayHandshake

 

[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22편 ] TCP 3 Way-Handshake & 4 Way-Handshake

우선  TCP의 3-way Handshaking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TCP 3-way Handshake 란? TCP는 장치들 사이에 논리적인 접속을 성립(establish)하기 위하여 three-way handshake를 사용한다. TCP 3 Way Handshake..

mindnet.tistory.com

https://spacefordeveloper.tistory.com/201

 

TCP(흐름제어/혼잡제어)

TCP 통신이란? 네트워크 통신에서 신뢰적인 연결방식 TCP는 기본적으로 unreliable network에서, reliable network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 TCP는 network congestion avoidance algorithm을 사용 relia..

spacefordeveloper.tistory.com

 

'Computer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_OSI 7계층  (0) 2021.12.21
Computer network_Client-Server Programming Model  (0) 2021.12.19
가상메모리  (0) 2021.12.14
메모리시스템  (0) 2021.12.13
컴파일 시스템  (0) 2021.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