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React Native?
나만의 무기를 하게되면서 리액트를 사용하여 웹앱을 개발할것인지 리액트 네이티브를 이용하여 앱을 만들지 고민중이다.
아래는 리액트와 리액트 네이티브의 차이점을 보기위해 정리해 본 표이다.
React |
react native |
javascript 와 JSX를 사용하여 웹 앱을 볼 수있는 UI 라이브러리 | React 상단에 추가 라이브러리 iOS 이며 Android 장치 및 장치에 대한 기본 앱을 만 |
둘 다 JavaScript에 대한 JSX 구문 확장을 따른다. | |
React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기위한 선언적이고 효율적이며 유연한 JavaScript 라이브러리 | React Native를 사용하면 JavaScript 만 사용하여 모바일 앱을 빌드 할 수 있습니다. React와 동일한 디자인을 사용하여 선언적 구성 요소에서 풍부한 모바일 UI를 작성할 수 있다. React Native를 사용하면 앱을 더 빠르게 구축 할 수 있습니다. 다시 컴파일하는 대신 앱을 즉시 다시로드 할 수 있습니다. 핫 리로딩을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새 코드를 실행할 수도 있다. |
웹 개발 의 주요 초점 |
모바일 개발에 관심 이있는 React의 확장 . |
로딩시간이 길다 | React Native는 웹 요소로 만들어지지 않았으며 CSS로 스타일 지정을 할 수 없다. 웹에서 id, class 등의 선택자를 이용해 스타일을 적용하는 방식이 아닌 StyleSheet.create 메소드를 이용해 스타일 object를 작성하여 컴포넌트에 style props를 전달 |
React Native는 ios , android 양쪽 플랫폼 개발을 모두 지원하는 것이 맞지만 양쪽 플랫폼의 OS는 아예 다르므로 이를 모두 고려하며 개발해야 한다. 플랫폼 별 정책도 다르므로 진행전 각 플랫폼에 대한 정책을 상세히 살피고 진행해야 한다. |
우리 프로젝트는 위치를 기반으로하고 매칭 성사시 자유로운 이동성이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앱쪽이 더 적합한것 같다. 또 우리 팀은 백엔드 언어로 node.js를 사용하는데 프론트와 백 둘다 협업을 위해 같은 js기반인 react를 선택하는 것이 Flutter등 다른 옵션보다 나아 보인다.
지도 API는 뭘로?
내용 | 네이버 지도 | 카카오지도 | 구글 |
공통지원사항 | 모바일/웹/이미지 맵(기본, 위성, 지형도) 지오코딩 장소검색 로드뷰 경로안내(구글의 경우 경로 찾기 기능은 안됨) |
||
검색시 제공되는 정보 | 지번주소/도로명주소 우편번호 경위도 영문주소 |
지번주소/도로명주소 우편번호 경위도 지형/지하정보 |
주소 우편번호 경위도 건물/지형형태 대각좌표 장소ID 국제코드명(81개 언어지원) |
최신화 주기 | 월1회 정기 업데이트 이벤트 발생 시 수시 업데이트 |
비공개 | 불명확 |
요금 | 동적지도 : 무료(월 천만건 제한) 정적지도 : 무료 지오코딩 : 월 3백만건 무료 경로안내 : 경유지 5개 월 6만건 무료 이후 건당 5원 경유지 15개 월 3천건 무료 이후 건당 20원 |
1일 3십만건 무료 추가 사용희망시 제휴필요 | 한국내 서비스 할 것이므로 고려하지 않음 |
참고 블로그 https://epdev.tistory.com/8
위 비교 결과 우리는 네이버 API가 제일 적합해 보였다. 구글은 우선 한국지도의 해외 반출에 대한 제한이 있어 한국내의 서비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아보여 배제하였고 카카오와 네이버 중에 고민을 하였지만 비슷한 성능을 보여 업데이트가 정기적으로 일어나고